주름치료와 흉터치료의 핵심ㅡ줄기세포의 활성화
JK 줄기세포 재생은 핵심가치 입니다.
자가지방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피부에 이식하면
성장인자가 분비되어 피부재생 및 콜라겐 생성을 하여
피부에 있는 흉터를 제거하는 것이 jk의 핵심가치 입니다.
피부에 상처를 내서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과는 달리
상처없이 진피와 표피를 동시에 치료합니다.
이는 섬유아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것보다 줄기세포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jk의 핵심가치를 표방합니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세원·김효수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저산소상태에 일정시간 노출시키면 분화가 촉진된다는 사실을 생쥐 배아줄기세포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생쥐의 다리에 혈액이 통하지 않게 해 괴사 부위를 만든 뒤 3개 그룹으로 나눠 식염수, 정상산소 배아줄기세포, 저산소 배아줄기세포를 각각 주입했습니다.
그 결과 식염수만 주입한 생쥐 다리의 혈류량은 정상적인 생쥐의 다리에 비해 8.6%에 그쳤으며, 정상산소 배아줄기세포를 주입한 생쥐들도 22.2%의 혈류량을 회복하는데 그쳤지만 저산소 배아줄기세포를 주입한 생쥐들은 혈류량이 60.8%로 회복됐습니다.
- 특히 저산소 조건에 배아줄기세포를 주입한 쥐들은 상처 부위에 혈류량이 늘었을 뿐 아니라 혈관으로 분화가 촉진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연구결과는 생명공학 분야 권위지인 엠보지 인터넷판에 실렸습니다.
ㅡ2012년 5월 서울대 발표
- □ 윤홍덕 교수 연구팀은 피부세포가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역분화하는 과정에서 세포의 영양상태에 따라 역분화 효율을 크게 좌우하고, 당화(오글루넥糖化)가 줄기세포의 전분화능과 자기재생능력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 당화는 단백질과 아세틸글루코사민을 결합시켜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여 세포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신호전달체계로서, 부적절한 당화는 당뇨, 신경질환, 심혈관질환 및 암 등 현대인의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줄기세포에서 당화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 ○ 윤 교수팀은 줄기세포에서 포도당의 농도를 낮추거나 유전자 조작으로 당화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키면 줄기세포의 자기재생능력이 떨어지고, 피부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역분화시키는 과정에서 당화를 증가시키면 역분화 효율도 증가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 특히 연구팀은 이 현상을 분자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줄기세포를 제대로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Oct4 단백질이 당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 또한 당화되지 못한 Oct4 단백질은 줄기세포를 유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형성하지 못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 □ 윤홍덕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영양상태가 Oct4 단백질에 영향을 주어 줄기세포의 전분화능과 유도만능줄기세포의 형성에 직접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힌 것으로, 향후 부작용이 없는 환자 맞춤형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작과 세포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줄기세포 치료의 핵심은 무산소환경이다
무산소 환경이 되게 하기 위한 조치
흉터치료과정
- 이 상처를 파괴된 도시에 비유한다면 염증기는 폐허화된 도시를 대청소(잔해 제거)하는 과정, 즉 체내 염증 반응 물질인 호중구가 방출되어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을 뜻하며,
- 증식기는 도시재건을 위한 여러 가지 건축물 조성을 위한 기반 다지기와 같은 것으로 피부재생 과정이 시작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 그리고 성숙기는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데 가장 필요한 상-하수도 건설과 같은 일들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때 상처는 균열된 조직에 임시로 채워진 생체조직을 새로 나게 하여 가렵고 따끔거리는 시기가 된다.
창상 치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콜라겐이다. 그리고 이 콜라겐 합성을 좌우하는 다음의 요소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그것은 산소와 온도, 스테로이드, 비타민 A와 C, 아연, NSAID등 이다. 산소의 경우 섬유아세포는 산소에 민감한데 산소분압이 40mmHg이상이 안되면 콜라겐 합성이 안되며 재생중인 각질세포를 산소성대사로 전환시키는 한편 콜라겐 합성과 기질 침착은 물론 혈관 신생과 상피화 그리고 재생과정에서 살균력이 강한 이유로 필수요소인 것이다. 창상감염에 있어 치료 실패를 좌우라는 가장 큰 이유가산소다.(?)
- 또한 온도도 중요한 데 섭씨 30C〬 에서 일반적으로 창상 치유가 촉진된다.
창상에 있어 스테로이드는 이중성을 띠고 있다. 경구용 스테로이드는 섬유아세포 증식과 콜라겐 합성을 억제하고 창상 수축이 억제되면서 상처 치료에 있어 중요 인자인 hypoxia-inducible factor-1 (HIF-1)의 생성을 억제하지만 국소용 스테로이드는 낮은 용량의 코르티로스테로이는 상처 치유를 촉진하고, 통증과 삼출물을 줄이는 한편 과생성되는 육아조직을 억제하지만 감염의 위험성으로 장기간 사용은 삼가는 것이 좋다.
- 이와 함께 비타민 A는 스테로이드 치료를 병행해야 하는 환자에게서 위에서 언급한 스테로이드의 창상 치유 저해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한다. 심한 창상이 있는 경우는 5000 IU/ day까지 권장되나 독성 발생을 주의해야 하며 창상 치유를 위한 비타민 A의 형태는 Retinyl ester 형태로 투여된다.
-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 능력을 증가시키고 ROS를 감소시켜 허혈성 창상 치유력을 향상시킨다. 외상이나 수술 후 환자등에게서는 비타민 C의 배설이 증가하므로 보충할 필요성이 있다.
- 아연이 결핍되면 직접적으로 섬유아세포 증식이나 zinc-dependent matrix metalloproteinases 의 보효소로 작용을 해서 keratinocyte migration을 증가시킨다. 또 항산화 작용과 함께 국소적으로 바를 시에는 superinfections 와 necrotic material을 감소시킨다.
NSAID는 콜라겐 합성을 감소시킨다.
'흉터제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흉터 레이저 치료 겨울이 적기입니다. (0) | 2019.01.06 |
---|---|
JK 스카젯이란? (0) | 2018.12.30 |
jk알로덤진피재생흉터복원술 (0) | 2018.12.30 |
콜라겐부족이원인 (0) | 2018.12.22 |
귀 켈로이드 절제술 (0) | 2018.12.22 |